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삶/산부인과

매독증상과 치료, 지금 바로 체크하고 빠르게 대응하세요!

by adse1 2025. 7. 7.

매독증상과 치료, 지금 바로 체크하고 빠르게 대응하세요!매독증상과 치료, 지금 바로 체크하고 빠르게 대응하세요!

매독은 초기에는 무증상 또는 가벼운 증상만 나타나다가 방치 시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페니실린 치료가 필수이며, 임신 중 관리추적 검사도 매우 중요합니다.


매독이란?

매독은 Treponema pallidum이라는 나선균이 원인인 **성병(STI)**입니다.
– 감염은 성접촉, 수혈, 임신 중 태아전파 등을 통해 전파되며 (synapse.koreamed.org, who.int),
– 전세계에서 수백만 명이 매년 감염되고 있습니다 .


매독증상: 단계별 특징

매독은 4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마다 증상과 치료법이 다릅니다.

 1. 1기(primary syphilis)

  • 단계 시기: 감염 후 평균 3주(9–90일) 이내 (paho.org)
  • 주요 증상:
    • **통증 없는 경성 궤양(chancres)**이 생기며, 크기 0.3–3cm, 단일 또는 다발성
    • 궤양은 보통 자가 치료되고 3–6주 후 사라지지만 감염은 지속됨 (mayoclinic.org)

 2. 2기(secondary syphilis)

  • 시기: 1기 궤양 후 몇 주 후 또는 동시기에 발생
  • 증상:
    • 비가려운 발진이 몸통, 손바닥, 발바닥 등에 발생
    • 구강·생식기 점막에 사마귀성 병변(condyloma lata)
    • 발열, 인후염, 탈모, 근육통, 림프절 종대 등 전신 증상 (en.wikipedia.org)
    • 증상은 자연적으로 소실될 수 있으나 감염은 지속됨

 3. 잠복기(latent syphilis)

  • 시기: 표면적 증상 소실 후
  • 특징:
    • 원인균은 체내에 있으나 무증상 상태
    • 조기 잠복(1년 이내)과 후기 잠복(>1년)으로 나뉨 (pmc.ncbi.nlm.nih.gov, cdc.gov)

 4. 3기(tertiary syphilis)

  • 시기: 감염 수년~수십 년 후 (10–30년)
  • 증상:
    • 심혈관계 문제: 대동맥염, 동맥류 등
    • 신경매독(neurosyphilis): 치매, 횡단척수, 두통, 정서 변화 등
    • 구체적 병변: 궤양, 뼈·간·관절 포함 기타 장기 침범

이나우이 경우 치료 이후에도 손상 회복이 어려울 수 있어 조기 치료가 핵심입니다.


매독의 진단 방법

  • 혈청학적 검사
    • 비트레포네말 검사: RPR, VDRL
    • 트레포네말 검사: TPPA, FTA-ABS (health.com)
  • 현미경 검사
  • 뇌척수액 검사
    • 신경계 증상이 발한 경우(neurosyphilis 의심 시) lumbar puncture로 검사 (health.com)

 매독증상과 치료 요약표

구분 시기 주요 증상 진단 검사 치료법

1기 감염 후 3–10주 통증 없는 궤양 현미경, RPR/VDRL, FTA-ABS BPG 2.4M U IM 단회 주사
2기 궤양 이후 수주 이내 비가려운 전신 발진, 림프절 종대 외 혈청 검사 BPG 2.4M U IM 단회 주사
잠복기 치료되지 않은 경우, 무증상 단계 무증상 혈청 검사 BPG 2.4M U IM → 3회 주사 (1주 간격)
3기/신경매독 수년 후 심혈관, 신경계 증상 혈청 + CSF 검사 CNS: IV Penicillin G 10-14일, 기타 장기별 치료

매독 치료: 최신 가이드라인

  • 1기·2기·조기 잠복기:
  • 후기 잠복기/작은 정보 없음:
    • BPG 2.4M U 주 1회 3회 (총 7.2M U)
    • 페니실린 알레르기: 독시사이클린 100 mg BID 28일
  • 신경매독(CNS 침범 시):
    • IV Penicillin G 10–14일
  • 임신부 매독:
    • BPG 단독 치료 (알레르기 시에도 desensitization 필수)
  • 신생아(선천매독):
    • 즉시 BPG 치료 및 장기 추적 검사
  • Jarisch-Herxheimer 반응 주의
    • 장시간 발열, 근육통 등 일시적 반응, 해열제로 관리하며 치료 중단은 권장되지 않음 (en.wikipedia.org)

매독 치료 후 추적 관리

  1. 혈청 항체 역가 확인:
    • RPR/VDRL: 치료 후 6, 12, 24개월마다 검사
    • 4배 이상 감소하면 성공적 치료 예후
  2. 신경매독 의심 시:
    • CSF 검사 반복 및 증상 모니터링
  3. 성 파트너 통지:
    • 무증상 감염 가능성이 높으므로 성접촉자 모두 검사 및 치료 권고

매독예방과 생활 수칙

  • 콘돔 및 덴탈댐 사용 철저
  • 정기적 검사: 연 1회 이상, 고위험군은 더 자주
  • 임신부 선별검사: 임신 초기 반드시 검사, 치료 시기 놓치지 않도록 (cdc.gov, verywellhealth.com)
  • 안전한 성관계 동반자 파악 및 관리

결론: 빠른 대응이 매독 극복의 핵심

매독은 초기 증상이 미미하거나 무증상인 경우가 많아 발견이 늦으면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기 검사, 빠른 진단, 정확한 BPG 치료를 통해 완치 가능합니다.
임신부 또는 파트너에게 전파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정기 검사 및 성관계 정보 공유가 매우 중요합니다.

치료 후에도 RPR/VDRL 검사 및 증상 모니터링을 통해 완전한 회복을 확인해야 합니다.


태그

#매독 #매독증상 #매독치료 #syphilis #성병 #penicillin #neurosyphilis #임신매독 #세계보건 #SEO